사회, 경제/경제정보

잘 나가는 식품주... 농심 분석 및 주가 전망

김대리! 2023. 6. 10. 18:25
반응형

최근 국내 주식 흐름은 대형주를 중심으로 하는 주가 상승이 트렌드인 것 같습니다.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 시가총액이 큰 종목들을 중심으로 주가가 상승했는데 여기서 식품주인 농심 주가도 최근 상승이 아주 놀랍습니다.

 

이유를 살펴보면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렇다면 모든 식품주가 다 주가상승이 좋으냐라고 한다면 그건 또 아닙니다.

지금 농과 삼양식품 정도만 양호하고 나머지 식품주 주가는 그리 좋지 못한 상황입니다.

대표적인 농심의 경쟁 기업인 오뚜기와 비교를 해서 왜 이러한 주가흐름을 보여주는 지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심과 오뚜기는 같은 식품주이지만 매출군 분포가 다르다.

 

 

우선 최근 농심의 실적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농심 실적은 2020년부터 꾸준하게 증가를 해왔는데요.

2020년에는 2조 6천억원, 2021년에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2022년에는 3조 1천억원, 올해는 3조 5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업이익은 2022년 대비 74%가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당기순이익은 45%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식품기업이 이렇게 단기만에 상승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경쟁업체인 오뚜기의 실적을 한 번 보겠습니다.

 

오뚜기 실적은 농심과 비교를 해도 그렇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2022년과 올해를 영업이익을 비교해보면 이익증가치가 대략 20%정도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당기순이익은 오히려 조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업이익률에서 농심의 70%이상과 비교해본다면 낮은 수치이죠.

 

그렇다면 같은 식품주인데 왜 이리 영업이익 성장률이 차이가 많이 날까요? 바로 매출군에 답이 있습니다.

농심은 매출에서 국내 매출에서도 좋은 성적표를 받았지만 해외에서 양호한 실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매출 성장이 아주 좋은 편인데요.

매출군에서 가장 성장이 좋은 것은 역시 면류(라면 등)입니다. 최근 국내 농심 라면의 미국 월마트 진열 및 홍보 등으로 최근 매출이 급상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농심 매출에서 라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79.3%입니다. 라면기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반면에 오뚜기는 어떨까요? 오뚜기의 면제품류는 매출에서 34%정도를 차지하는데요.

적게 차지하는 편은 아니지만 농심에 비하면 적죠.

 

농심의 이유있는 주가 상승

이렇게 면류를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글로벌 식품판매량을 보면 면류의 매출성장이 가파르다는 것입니다.

오뚜기는 면류보다는 요리를 하기 위한 조미료 등의 비중도 상당하네요.

하지만 최근 경기침체 및 원재료가격 상승 등으로 인스턴트 음식들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게다가 라면 가격상승 등으로 이익증가치가 더욱 늘어나고 있는데 바로 농심이 가장 큰 수혜를 받고 있는 듯합니다.

 

물론 삼양식품 역시도 면류 매출이 많은 관계로 주가흐름은 농심만큼은 아니더라도 양호한 편이죠.

증권사별로 나온 리서치 보고서를 보더라도 2024년까지 농심의 실적은 줄지 않고 양호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게다라 수출 및 홍보도 국내 드라마나 유튜브 등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같은 식품주라고 해도 매출군에 따라서 이렇게 이익증가치가 달라지게 됩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최근 인스턴트음식의 매출이 늘어남에 따라 면류 비중이 높은 기업이 혜택을 보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경기침체를 조금 생각해볼 수도 있으며 최근 높아진 식자재비로 인해 값싼 라면으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금 농심은 가격인상 효과까지 더해지면서 성장세가 좋은데요.

향후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는 시점이 오면 영업이익은 더욱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라면가격을 낮추지 않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지금 농심 주가가 많이 상승했고 한 번 조정기를 조금 거친 다음에는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물론 단기적으로 더 주가 상승할 수도 있는데 그만큼 현재 농심의 실적이 아주 양호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