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상품을 좋아합니다.
수익이 날 때는 극대화되기에 리스크가 있더라도 공격적으로 진입하는 전투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스닥 대표적인 3배 레버리지 ETF가 있는데 많이들 아시는 바로 TQQQ입니다.
TQQQ주가를 보시면 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주가가 무려 8배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만약 3천만원의 돈을 여기에 투자를 했다면 2021년도 하반기 최고점에 2억 4천만원의 돈으로 바뀌었을 것입니다.
TQQQ는 어떤 유형의 ETF일까?
TQQQ는 프로쉐어즈의 운용사가 만든 상장 지수 펀드입니다.
시가배당률은 작지만 배당주기는 분기이며 연간 시가배당률은 1%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투자하는 상품들은 대부분 파생상품이 대부분입니다.
총보수비율 0.98%로서 높은 편인데 레버리지 상품이다보니 어쩔 수가 없습니다.
주가 하락 시 하락률은 몇 배가 된다.
코스닥100 지수는 이미 저번 최고치에서 22%정도 하락을 했는데요.
생각보다 많이 하락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지금 어느정도 회복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실 겁니다.
하지만 TQQQ주가가 하락할 때 레버리지가 없는 ETF보다 하락 속도는 몇 배나 빠릅니다.
현재 주가를 보면 최고치 대비 1/4이 넘게 하락했습니다.
상승할 때 수익률 극대화 되지만 반대로 하락할 때 조금이나마 방어를 하는 ETF를 선호하신다면 TQQQ는 선택하지 않는게 좋을 듯 합니다.
나스닥 100 지수의 방향은?
나스닥의 상승이 곧 TQQQ주가 상승과 직결되듯이 향후 나스닥의 방향은 어떻게 될까요?
현재 상승분위기가 어느정도 마무리가 되어가는 듯 보입니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 역시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는 듯 하구요.
향후 하락 횡보를 길게 몇 년간 유지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과거 닷컴 버블을 생각하면 충분히 그럴 가능성도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애플의 주가만 보아도 근 몇 년간의 급격한 성장으로 과연 더 상승할 것인지 의문입니다.
역시 주가는 금리와 기업의 실적이 좌우를 하는데 기업의 실적이야 이미 경기침체를 반영하듯 좋지 않을 것이란 전망치를 이미 반영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남은 것은 금리입니다.
과연 미국은 기준금리를 인하할까요?
금리인하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이미 시장에서 연내에서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고 실제 많은 투자자들은 금리인하를 인하를 염두해두고 투자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쉽게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못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입니다.
만약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리게 되면 달러가치는 순식간에 하락할 것이기 때문에 미국 입장에서는 그런 상황이 달갑지 않을 것입니다.
최근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를 보면서 달러의 기축통화 기조에 위협이 되는 요소들에 대해 경계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금리를 쉽게 내릴 수 없는 노릇입니다.
거기다 천문학적인 부채율을 기록하고 있으니 긴축은 해야겠고 긴축을 하자니 은행들이 문제가 발생하니 진퇴양난에 빠진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근거로 나스닥100지수는 생각만큼 반등보다는 하락횡보를 길게 가져 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러한 예상이 들어맞는다면 현재 TQQQ를 당분간 매수시점으로 생각하지 않는게 좋을 듯 합니다.
'사회, 경제 >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 및 삼성전자우 주가 전망 (1) | 2023.04.16 |
---|---|
아직 늦지 않았다! 채권투자 분석(미국소비자물가지수 CPI) (0) | 2023.04.14 |
레저 스포츠? 2차전지? 이녹스 급등 이유 및 주가 분석 (0) | 2023.04.12 |
국내 2차전지 ETF 두 종 비교 분석 (0) | 2023.04.10 |
세방전지 주가 전망(LFP배터리 관련주) (2) | 2023.04.09 |